2024년 7월 기준 경매사자격증 취득자는 몇 명일까?
안녕하세요?
경매사자격증 취득을 원하시는 분들에게 가장 쉽고, 정확하게 정보를 전달해드리는 "가락시장이박사" 입니다.
https://link.coupang.com/a/bK4VCI
덴프스 덴마크 유산균이야기 프로 2개월 10.2g, 60정, 2개
COUPANG
www.coupang.com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드디어 22회 경매사시험 최종 합격자가 발표되었습니다!
2024년 시작된 제22회 경매사시험은 2차시험(실기)을 끝으로 막을 내렸습니다.
7월 24일 최종적으로 경매사자격증 최종합격자가 발표되었습니다.
총 366명의 새로운 경매사가 탄생했습니다.
(하지만, 모두다 도매시장에서 일하는 것은 아니어서 경매사라고 할 수는 없지요~)
지금까지 경매사자격증을 취득한 사람은 총 6,326명입니다!
22회 경매사시험에서 총 366명의 경매사자격증 취득자가 나왔습니다.
이번 시험에는 6개 부류 모두 시험을 보면서 최근들어 가장 많은 최종합격자를 배출했습니다.
현재까지 가장 많은 경매사자격증 취득자를 보유한 부류는 "청과부류" 입니다!
가장 많은 경매사자격증 취득자가 있는 부류는 청과부류 입니다.
이어 수산부류, 축산부류, 화훼부류, 약용과 양곡부류 순으로 취득자가 많습니다.
70%가 넘는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청과부류는 그 만큼 수요가 많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수요에 따라서 부류별 취득자가 달라진다고 볼 수 있습니다.
가장 많은 경매사자격증을 보유한 부류는 "청과부류"입니다.
우리가 흔히 경매사라고 불리우는 부류는 청과부류입니다.
여기에 채소경매사, 과일경매사로 또 나눌수는 있지만, 청과부류 자격증 하나면 과일 또는 채소 모두 경매할 수 있습니다.
2024년 248명이 추가된 청과부류 경매사는 총 4,637명이나 됩니다.
취득한 사람도 많지만, 실제적으로 도매시장에서 일하는 사람도 가장 많습니다.
지금까지 수산부류 경매사자격증을 취득한 사람은 총 1,082명입니다.
청과부류와 마찬가지로 수요가 많은 수산부류의 경우에는 올해 32명의 수산부류경매사자격증 취득자가 생겼습니다.
현재까지 총 1,082명인데요, 점차적으로 지원자수가 적어지고 있습니다.
다른 부류와 달리 청과부류와 수산부류는 매년 경매사시험이 시행되면서 필요한 사람은 웬만하면 취득한데다, 몇 년전부터 "산지경매사"라는 제도가 생겨 수산부류 경매사자격증을 구지 취득하지 않아도 경매를 하게되면서 수산부류 지원자가 줄어들면서 이런 현상이 생기고 있습니다.
축산부류 경매사자격증 취득자가 올해 크게 증가했습니다!
유례없이 축산부류 경매사자격증 취득자가 72명이나 늘어 총 356명이 취득하였습니다.
축산부류 경매사의 경우 대부분 축협에서 일하기 때문에 축협에 다니고 있는 분들이 자격증 취득이 필요한 경우가 생기면서 시험에 응시하는 패턴입니다.
축산경매사가 되려면, 우선 축협에 취직해야한다는 사실 꼭 기억하십시오.
축산부류는 2년 마다 시행되기 때문에 잘 준비하셔서 응시하셔야 되며, 다른 부류에 비해 지원자수가 늘고 있습니다.
화훼부류 경매사자격증 취득자는 210명 입니다.
화훼부류 경매사자격증 취득자가 9명 밖에 늘지 못했습니다.
지금까지 총 210명입니다.
화훼부류 경매사의 경우에도 농협중앙회에서 주관하는 도매시장에서 일하기 때문에 우선 농협에 취직하여야 경매사가 될 수 있습니다.
농협경제지주로 소속이 바뀐 농협경매사의 경우 기본적으로 청과부류와 화훼부류 경매사자격증 취득자를 우대하고 있기 때문에 농협에서 일하고 싶은 분들은 2개 부류를 취득하시기를 추천 드립니다.
약용부류 경매사자격증을 가진 사람은 총 19명입니다.
2년 마다 시행되는 약용부류 경매사시험은 올해에도 2명의 합격자를 배출했습니다.
약용부류경매사가 될 수 있는 도매시장은 굉장히 소수여서 지원자가 많지 않습니다.
양곡부류 경매사자격증 취득자는 총 22명입니다.
양곡부류 경매사자격증 취득자가 3명이 늘어 총 22명이 되었습니다.
실제적으로 양곡부류의 경우 상장경매가 이뤄지지 못하는 유통구조를 갖고 있어, 자격증 취득의 의미가 많이 없다고 볼 수 있습니다.
과거에는 지원자가 없어서 격년 주기로 시험보는 것에도 배제되는 등 취득하기도, 사용하기도 어려운 자격증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장농 자격증이 되지 않기를 기원합니다!
지금까지 총 6,326명의 부류별 경매사자격증 취득자가 있지만, 실제적으로 도매시장이나 공판장 등에서 일하는 분들은 20%정도밖에 되지 않습니다.
갈수록 상장경매 비중이 줄고, 경매사 지위가 낮아지는 과정에 있지만, 새로운 유통환경에서 경매사로서 역할은 오히려 단순 경매,판매에만 국한되지 않고, 다양하게 활동할 수 있는 또 그렇게 변화해야만 하는 상황입니다.
따라서, 더 젊고 유능한 경매사가 필요해집니다.
먹거리 시장은 영원히 망하지 않기 때문에 농수산물유통에 관심이 있고, 그 곳에서 인생의 길을 찾는 분들은 경매사자격증 취득을 계기로 이 시장에서 일해 보는 것은 어떤지 제안해 봅니다.
다시한번, 제22회 경매사자격증 취득하신 분들에게 축하의 인사를 전합니다.
혹시 이번에 불합격되거나, 다음 제23회 경매사시험을 준비하시는 분들은 가락시장이박사의 블로그, 티스토리, 유튜브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시라는 말씀을 드리고 싶네요~